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“월세 내는 것도 버거운데 언제 집 사지?”
청년과 신혼부부에게 주거 안정은 여전히 가장 큰 고민입니다. 하지만 희망은 있습니다. 정부는 2025년에도 다양한 주거 복지 제도를 운영하며 내 집 마련을 위한 첫걸음을 응원하고 있습니다.
월세, 전세도 부담… 내 집은 꿈도 못 꿔요
요즘 전세도 월세도 모두 오르고, 결혼한 지 얼마 안 된 신혼부부나 취업한 지 얼마 안 된 청년들에게 매달 빠져나가는 주거비 부담은 너무 큽니다. ‘언제쯤 우리 집을 마련할 수 있을까’ 하는 막연한 불안감이 계속되죠.
지원 제도는 많다는데, 뭐가 나한테 해당되는지 모르겠어요
‘행복주택’, ‘버팀목대출’, ‘청년전세자금대출’… 이름은 많이 들어봤지만, 조건과 혜택이 다 제각각이라 헷갈리기만 합니다. 어디서 신청해야 하는지도 막막하죠.
2025년 청년·신혼부부 주거 복지 제도 총정리
- ① 청년전세자금대출
-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,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- 한도: 최대 1억 원 (보증금 70~90%까지)
- 금리: 연 1.5%~2.1% - ②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
- 대상: 혼인 7년 이내 부부 (예정 포함), 연소득 7천만 원 이하
- 한도: 수도권 최대 2억 원
- 금리: 연 1.2%~2.0% - ③ 생애최초주택자금대출
- 대상: 무주택 신혼부부·청년 중 생애 첫 집 구매자
- 금리: 연 1.85%~3.0%
- 최대한도: 2억 5천만 원 - ④ 행복주택 / 매입임대주택
- 대상: 청년, 신혼부부, 사회초년생 등
- 임대료: 시세 60~80% 수준으로 저렴
- 신청: LH 청약센터에서 온라인 신청
조건만 맞으면, 여러분도 해당됩니다
“나는 해당 안 될 것 같아”라고 생각하지 마세요. 소득이 조금 부족해도, 무주택이라면, 나이에 해당되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제도가 대부분입니다. 알고 신청하는 사람이 집을 가질 수 있는 시대, 지금이 바로 그 첫걸음을 내딛을 순간입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※ 본 글은 2025년 6월 기준입니다. 정확한 조건 및 신청 방법은 ‘LH 청약센터’, ‘주택도시기금’, ‘복지로’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.
#청년주거복지 #신혼부부대출 #2025주택정책 #행복주택 #버팀목대출 #내집마련 #생애최초대출 #청년임대주택
반응형